티스토리 뷰
식물이 아프거나 초록별로 떠나버려도 다시 홈가드닝하게 되는 것이 식집사의 매력인 듯 합니다.
습도, 온도, 통풍 등 점점 노하우가 쌓이는 것 같지만 늘 부족하기만 한 느낌!
오늘도 금쪽같은 우리 아이, 식물에 벌레가 생겼다고요?
왜 생겼는지, 어떻게 하면 되는지 식물이 말이라도 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하셨나요?
말하지 못하는 식물 대신 식집사인 제가 모두 알려드릴게요!
흰솜깍지벌레를 차근차근 해결해 보아요!
🚨 흰솜깍지벌레가 생겼을 때
1. 식집사 SOS: 흰 가루를 분비하는 벌레가 계속 나타나요!
식물에 흰솜깍지벌레가 생겨서 잘 안 없어져요! 손으로 잡아서 거의 다 죽이고 있는데요.
흰솜깍지 벌레를 완전히 박멸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2. 문제는? 바로 '흰솜깍지벌레'가 원인입니다!
❗ 통풍이 부족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생기는 흰솜깍지벌레
흰솜깍지벌레는 잎이 도톰한 식물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벌레에요!
하얀 솜 같은 것이 잎과 줄기 사이에 묻어있고, 잎의 뒷면에 끈끈한 액(벌레 배설물)이 묻어있다면 흰솜깍지벌레가 있는지 살펴보셔야 합니다.
하얀 솜뭉치 모양의 이 벌레는 통풍이 부족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요.
흰솜깍지벌레가 발생했다면 평소에 통풍이 원활한지 환경을 살펴보세요.
흰솜깍지벌레는 식물에 붙어 식물의 즙액을 먹고 흰 가루를 분비해요.
이 분비물로 잎이 곰팡이 또는 균에 감염되어 상하거나 마르게 되며 주변 식물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3. 흰솜깍지벌레 해결 방법
💊식물을 건강하게 하는 꿀팁! (격리, 잎 닦기, 약, 통풍, 공중 분무)
1. 벌레가 보이는 식물은 다른 식물과 격리합니다.
2. 증상이 가볍다면, 손으로 잡아내고 식물의 잎 앞뒷면를 닦아냅니다.
3. 증상이 심하거나, 더 이상의 번식을 철저히 막고 싶다면 해충약을 구매하여 증상을 보면서 벌레가 없어질 때까지 3-4일 간격으로 잎 한 장 한 장 앞뒷면에 꼼꼼히 살포합니다.
4. 베란다 창을 열어 통풍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5. 건조한 환경에서 쉽게 생기는 벌레를 예방하기 위해 종종 공중 분무를 해서 습도를 조절합니다.
🍀식린이에서 식집사가 되는 TIP!
당장 살충제가 없다면, 주방 세제 2번 펌핑 + 물 500ml 섞어서 벌레와 솜 자국들을 중심으로 꼼꼼히 살포해 주세요.
20분 정도 지난 뒤 강한 수압의 샤워기 등으로 식물 잎의 앞뒷면을 꼼꼼히 씻겨주시면 됩니다.
어떠셨나요? 뿌리파리, 응애, 흰솜깍지벌레가 생긴 이유와 해결 방법까지 알아보았어요.
한 단계 성장한 식집사가 된 기분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