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식물이 아프거나 초록별로 떠나버려도 다시 홈가드닝하게 되는 것이 식집사의 매력인 듯 합니다.
습도, 온도, 통풍 등 점점 노하우가 쌓이는 것 같지만 늘 부족하기만 한 느낌!
오늘도 금쪽같은 우리 아이, 식물에 벌레가 생겼다고요?
왜 생겼는지, 어떻게 하면 되는지 식물이 말이라도 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하셨나요?
말하지 못하는 식물 대신 식집사인 제가 모두 알려드릴게요!
응애벌레를 차근차근 해결해 보아요!
🚨 응애벌레가 생겼을 때
1. 식집사 SOS: 잎을 갉아먹는 벌레가 나타났어요!
식물 잎에 엄청 작은 벌레들이 생겼어요!
지나간 자리에는 하얗게 반점이 생기고 갉아먹은 듯한 자국도 생기며 거미줄까지 생기기 시작했어요!
이 벌레의 정체가 뭘까요? 어떻게 식물을 보호할 수 있나요?
2. 문제는? 바로 '응애벌레'가 원인입니다!
❗ 거미줄을 치는 아주 작은 거미 응애
응애는 크기가 매우 작은 거미류로 잎의 뒷면에 많이 서식하는 벌레예요!
식물에 거미줄이 보인다면 응애가 있지 않은지 잎을 꼼꼼히 살펴보셔야 합니다.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요.
잎에 흰색 반점이 생기면서 증상이 심하면 잎이 갈변되고 마르기까지 합니다.
많은 식물집사님들이 응애는 답이 없다고, 종종 이야기해요. 바깥 환경에서와 달리 실내 화분 내 생태계에서는
응애나 벌레를 잡아먹을 천적이 전혀 없어 번식하기 딱 좋거든요.
그러니 평소 식물관리가 중요해요. 통풍과 습도를 잘 관리하며 응애가 안 보이더라도 2주에 한 번은 주기적으로 약을 미리 쳐서 방제하거나 잎을 닦아주며 관리하는 것이 응애를 예방하는 방법이 됩니다.
3. 응애 해결 방법
💊 식물을 건강하게 하는 꿀팁! (격리, 강한 수압의 물, 약, 분갈이)
1. 다른 식물들과 격리해서 응애가 옮는 것을 예방해요.
2. 당장 살충제가 없다면 샤워기로 강한 물 수압으로 잎 하나하나 꼼꼼히 잎의 앞뒤를 강하게 분사해서 응애를 잎에서 떨어뜨리거나, 응애가 집중되어 있는 잎이나 가지는 잘라 버려주세요.
3.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물안경, 고무장갑, 방독면을 착용하여 살충제에 피부나 점막이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하여 약을 살포해 주세요.
4. 5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여 퇴치를 합니다! 퇴치 이후 다시 재발하면 기존에 썼던 약제 내성이 생긴 상태이므로 다른 약으로 교체하여 사용해 줍니다.
5. 벌레가 흙 속까지 심각하게 퍼져있다면 식물을 화분에서 꺼내 물속에 담근 뒤, 흙을 부드럽게 털어내 살충제를 다시 한번 도포하고 새로운 흙에 분갈이해 줍니다.
🍀식린이에서 식집사가 되는 TIP!
새로운 식물은 박멸충, 박멸균과 같은 약을 앞, 뒷면과 줄기, 흙 위에 흠뻑 뿌리고 마른 다음 집안으로 들여주세요.
그럼 외부에서 들어오는 벌레나 균을 미리 방제할 수 있어요!